구간축소법 ( Shrinking Interval Method, SIM )
- 증분(increment) : 극히 작은 변화량으로 x축을 기준으로 δx로 표기한다. 어떠한 값의 변화. 기호로 delta(Δ,δ)를 사용한다.
- 어떤 점 x에 증분을 더한 값을 x + δx로 x와 x + δx 사이의 간격을 구간(interval)이라 한다.
만약 x=3에서 y=3x^2 + 1의 변화율을 구한다고 하자.
[1] x=3에서 y=3(3)^2 + 1 = 28이다.
[2] x=3+δx에서 y는 다음과 같다.
[3] 그러므로, y의 평균 변화율(x의 증분에 대한 y의 증분의 비율)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 (기울기)
평균 변화율을 순간 변화율로 고치기 위해 구간을 점으로 축소시킨다.
구간의 증분 값 δx를 0으로 근사시키면, 구간이 점에 가까워진다.
y 미분(derivative)
xy 그래프에서 y의 변화율을 y의 미분이라고 부르며, 증분 δx를 0으로 근사시킨 함수 그래프의 어떤 구간은 점으로 축소된다.
-dy/dx는 /dee y (by) dee x/로 읽는다.
-x는 독립변수, y는 종속변수이다.
-dy/dx는 간단하게 y'(prime)으로 표기하기도 한다.
미분(differentiation)은 쉽게 말해 y에서 y'을 찾는 절차이다.
접선
SIM을 응용해, 접선의 정의를 유도할 수 있다.
[1] 할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.
-두 점 P,Q를 잇는 할선의 기울기
-접선을 구하기 위해서는 점 Q가 곡선인 함수 f의 경로를 따라 P에 접근하도록 해야 한다.
[2] 점 Q를 점 P에 접근하도록 하되, x≠a이다.
접선의 정의
접선이란, 점 Q가 함수의 경로 f를 따라 P에 접근할 때 할선 PQ의 극한에서의 위치이다.
접선의 정의에서 x를 a+h로 둘 수 있다.
같은 그래프임에도 이번에는 두 점을 a와 x 대신, a와 h(증분과 같은 개념)라는 새로운 수로 표현했다.
h=x-a → 구간축소법에서 소개한 increment와 같다.
접선의 정의와 h의 정의를 접목하면 접선의 일반식을 유도할 수 있다.
접선의 일반식
a에서의 함수 f의 극한을 미분계수라 하고 f'(a)라고 표시한다.
h→0의 필요충본조건은 x→a이다.
구간축소법을 사용하여 y(x)의 미분값을 찾는 방법을 1차 원리에 의한 미분(differentiation from first principles)라고 한다.
example 4.1 미분계수
다음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.
solution
(1) 6x-4
(2) 7/(t+3)^2
(3)
'knowledge > 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미분 ] 6. 도함수 : 다항함수의 도함수 (1) | 2022.12.19 |
---|---|
[ 미분 ] 5. 도함수 : 입문 (0) | 2022.12.18 |
[ 미분 ] 3. 함수의 연속성 (0) | 2022.12.15 |
[ 미분 ] 2. 함수의 극한 (0) | 2022.12.15 |
[ 미분 ] 1. 미적분학 들어가기 : 접선과 넓이 (0) | 2022.1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