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nowledge/IT-license
[ 정보처리기능사 필기] 4. 정보 통신 일반
발효홍삼
2023. 1. 15. 13:15
728x90
1.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
- 데이터 처리계 :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를 의미, 중앙처리장치(CPU)와 주변 장치로 구성됨
- 데이터 전송계 : 데이터의 입출력 및 송신을 담당하는 장치로 단말 장치. 데이터 전송 회선, 통신 제어 장치로 구성됨
2. 정보 전송 선로
- 정지형 통신 위성 : 지구 적도 상공 약 36,000km
- 광섬유 케이블(Optical Fiber Cable)
- 규소(SiO₂)를 주재료로 하며 빛의 반사 현상 이용
- 온도 변화에 안정적이며 신뢰성 높고 에러 발생률이 가장 적음
- 잡음이나 누화가 거의 없고 감쇠 현상이 적음
- 광대연 전송, 작은 크기와 무게, 적은 감쇠도, 보다 넓은 리피터 간격 등과 같은 전송 특징이 있음
- 보안성이 뛰어남
- 접속과 연결이 용이하지 않음
3. 정보 전송 회선의 종류와 특성
- 단방향 통신(Simplex) : 한 쪽 방향으로만 정보 전송이 가능. ex) TV, 라이도
- 반이중 통신(Half Duplex) : 양쪽 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. ex) 무전기
- 전이중 통신(Full Duplex) :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. ex) 전화
4. 통신 속도와 통신 용량
- 4비트(Quadbit)가 한 신호 단위인 경우 2400 x 4 = 9600
- 트리비트(Tribit)인 경우 Bps = Baud x 3 = 1,600 x 3 = 4,800
5. 전송 에러 제어 방식
- ARQ(Automatic Repeat reQuest) - 자동 재전송 방식
- 정지-대기 ARQ ( Stop & Wait ARQ )
- 연속적 ARQ ( Go-Back-N ARQ )
- 선택적 ARQ ( Selective ARQ )
- 적용적 ( Adoptive ) ARQ
6. 정보 신호 변환 방식
- 주파수 변조 ( FM : Frequency Modulation ) :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조
- 진폭 변조 ( AM : Amplitude Modulation ) : 반송파의 진폭을 변조
- 위상 변조 ( PM : Phase Modulation ) : 반송파의 위상을 변조
- PCM ( Pulse Code Modulation ) :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펄스로 변환하여 전송, 수신 측에서 이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환원시키는 방식
7. 정보 단말 설비
- 2번핀 : 송신 데이터
- 3번핀 : 수신 데이터
- 4번핀 : 송신 요구
- 5번핀 : 송신 준비 완료
8. 정보 교환 설비 - DSU
- DSU ( Digital Service Unit ) : 디지털 서비스 유닛 장치,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는 장비,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디지털 전송로를 이요하여 고속 전송하는 장치이다.
9. OSI 참조 모델
- 네트워크 계층 ( Network Layer ) : 제3계층으로 응용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기능, 복수 망인 경우 중계 시스템에 대한 경로 선택 및 중계 기능을 제공. 데이터그램 또는 가상회선 개설
- 데이터 링크 계층 ( Data Link Layer ) : 제2계층
- 이웃한 통신 기기 사이의 연결 및 데이터 전송 기능과 관리를 규정
- 동기화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사용
- 데이터 블록을 인접 노드 간에 오류 없이 전송
- 정보의 프레임화 및 순서 제어, 전송 확인, 오류 검출 및 복구 등
10. 정보 신호 변환 방식
- 통신 회선의 링크 수 : n(n-1) / 2
11. 정보 통신 교환망의 분류
정보 통신 교환망 : 회선 교환망, 메시지 교환망, 패킷 교환망
728x90